콘텐츠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기업지원자료

기술정보자료

게시판 보기
울산, 과학기술로 미세먼지 줄인다
분류 국내기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5-09
조회수 3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공동 기획

산업미세먼지 저감 신기술개발 나서

동남권 연 배출부과금 1206억 예상

47조 규모 미세먼지 세계시장 선점

지금까지는 미세먼지의 주원인인 황산화물을 배출한 한 업체의 경우 적발됐어도 총 1,500만원의 과태료와 초과배출부담금을 내는 데 그쳤으나 향후 부담금이 커질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크/2018-03-28(한국일보)

 

울산시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손잡고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시와 생기원은 제조시설 및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생성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이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부터 2차 굴뚝으로 나오는 단계까지 최대한 거를 수 있는 ‘고효율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개발, 산업현장에 대한 실용화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이 사업은 미세먼지로부터 시민건강을 보호하고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울산시와 생기원이 공동으로 기획했다.

 

신기술 개발비로 국비 17억원을 확보하고, 울산시도 산업현장에서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시설에 대한 기술지원과 공정개선을 위해 사업비 4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이달 사업에 착수해 2019년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의 미세먼지 총량제 규제(배출허용기준 30% 강화)가 실시되면 울산 부산 경남을 포함한 동남권에서만 연간 1,206억원의 배출부과금이 기업에 부과될 전망이다. 정부가 지정한 최고 수준의 배출저감 기술을 산업현장에 적용해도 강화되는 규정을 맞추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반면 정부는 산업계에 수년 이상 유예기간을 부여해 규제 적용을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 강화된 규정을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기술개발의 핵심을 중소형 사업장의 LNG 보일러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최적의 버너 개발로 연소실 후단에서 질소산화물 농도를 15ppm 이하로 낮추고, 광범위 온도에서 반응하는 촉매 개발 및 실증으로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또 해상 선박을 대상으로 메탈폼 형태의 해상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와 초소형 황산화물 막 스크레버(제거장치)를 개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정진단 컨설팅과 공정개선 지원, 관련 환경설비의 제품고급화 지원 및 환경규제대응 전문컨설팅 등의 기술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수요기업을 5월부터 모집할 예정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성일)은 “중소ㆍ중견 제조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고 관련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며 “울산을 거점으로 하는 ‘산업미세먼지 저감기술센터’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시 관계자는 “국제적으로 선박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정부의 미세먼지 감축정책에 따라 어려운 산업경제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가 된다”며 “미세먼지로 인해 시민들이 겪는 불편을 해결하고 중ㆍ소기업의 환경규제 관리 역량을 키우기 위해 기술개발과 실증ㆍ보급을 통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산업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사업을 통해 정부가 대통령 공약으로 약속한 2022년까지 미세먼지 30% 감축목표를 달성해 국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2023년까지 47조원 규모로 형성될 미세먼지 관련 세계 기술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연료정책 추진 ▦대기배출시설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허용기준 강화 ▦중소기업 산업용 보일러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 ▦민ㆍ관 합동 사업장 내ㆍ외 미세먼지 제거 실천운동 ▦친환경자동차 보급 확대 및 경유자동차 감축 등 다각도로 미세먼지 저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창배 기자 kimcb@hankookilbo.com

파일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콘텐츠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